직장인, 청소년 등 스트레스 1위 문제는 '인간관계'
사람 때문에 힘든게 가장 큰 상처이고 스트레스죠.
유튜브를 보다가 김경일 심리학교수 강의에서 좋은 부분을 요약해봤어요.
1) 남 욕하는 사람
지치고 힘든건 뒷담화를 들을 때..
뒷담화를 많이 하는 사람의 특징은
1. 행복하지 않다.
2. 불안하다.
내가 싫어하는 사람을 다수가 싫어해야해,
싫어하는 감정의 타당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는데
상황 만들기에 몰입하게 된다.
다른 사람의 말을 옮기는 사람이 뒷담화 하는 사람보다 더 나쁘다.
욕을 하고 싶지만 책임 지고 싶지 않은 비겁함.
싫으면 싫다고 말하는게 낫다.
남 욕하는 사람은 왜 정신건강을 해치게 될까?
책임질말(뒷담화)은 불안(에너지소모)을 만들게 된다.
실제로 누군가의 뒷담화를 하면 불안해진다.
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 불안하고 지치게 되는 것이다.
뒷담화러버 대처방법은?
나를 공범으로 만들려는 사람에게는,
"너 되게 남다르고 특이하다" 라고 말하면 나와는 엮이지 않게 된다.
거리두기를 한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뒷담화러버라면?
손절 불가능한 경우에는,
칭찬을 옮기는 행동이 즐겁다는 걸 알려줘야 한다.
칭찬, 장점 찾기 전문가가 된다면
다른 사람들이 나한테 와서 타인의 험담을 하는 일이 줄어든다.
2) 대화하기 싫은 사람, 무조건 우기는 사람
왜 우길까?
1. 아는 것이 없어서, 편협해서일 확률이 크다.
더닝 크루거 효과(지식수준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현상)
2. 비슷한 성향의 사람만 만나는 사람일 경우 우기는 사람이 많다.
우기는 사람 상대하는 방법?
우기는 사람은 지는 법을 모르기 때문에, 대화를 승부로 본다.
같은 편이라는 생각을 심어줘야 한다.
공통된 취향을 어필한다.
혹은 인정을 해준다.(다른 분야에서)
부장님께서 이 문제 최고 권위자이시 않습니까.
그래서 말씀드리자면,
~~
이런 식으로 먼저 인정해 주고 시작한다.
어떤 사람이 나한테만 우긴다?
그 말의 뜻은,
내가 그 사람을 패배자로 만들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 사람을 주인공으로 만들어라.
정답이 하나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어렸을 때부터 정답이 하나라는 교육을 배운 사람들일 확률이 크다.
현대 한국 교육의 부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지 못하는 우리 사회의 문제이다.
여러개의 답이 있다는 걸 받아들이기 불편한 사람들은,
생각의 즐거움을 저버린 것.
3) 공감제로
스트레스 해소 방법 중 하나는 수다!
나빼고 다 아웃 오브 안중..
경청, 리액션, 공감은 쉽지 않다.
현대사회는 복잡하고 커서 공감하기가 쉽지 않다.
공감필터를 통해 나에게 호감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오랜 시간 교류했는데도 공감이 없다면 나에 대한 호감이 없는 것이다.
소시오패스는
남에게 쓰는 시간을 아깝다고 싫어한다.
남에게 쓰는 시간 자체가 아깝기 때문에 공감하지 않는다.
소시오패스 구별 방법은?
엠티에 늘 사유 없이 후발대에 오는 사람.
일찍와서 준비하는 사람에게 미안한 감정이 없는 사람.
소시오패스 손절법?
(이건 전애인 잊는 방법이랑 유사하네요)
1. 연락처를 지워라.
나에게 의미 있는 사람이 아니다.
2. 행복한 일 많이 만들기.
3. 욕 절대 금지.
(유유상종)
악인팟
우울팟
행복팟
행복한 사람은 행복한 사람끼리 모인답니다.
4) 나에게 집착하는 사람
관심과 집착의 차이는?
관심을 받는 사람의 느낌이 정답입니다.
부담이면 집착이다.
학창시절에는 괜찮았지만,
더 커서도 집착한다는 것은 사회화가 덜 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나 없이 못산다고 하는 남자/여자?
상대를 좋아했다기보다는 부재를 견디지 못한것.
Like가 아닌 want 일지도요.
집착이 심한 사람은?
상대방에게 피해를 준다.
새로운 만남을 방해하고,
집착은 도전을 방해한다.
집착의 방법이 교묘해진다면,
도전하지 말아야 하는 수십가지 방법을 친절하게 알려줄 수도 있다.
집착하는 사람이 나랑 친하거나 나한테 필요한 사람이라면?
끊어낼 수는 없고 현명하게 거리를 두어야 한다.
시간, 돈, 사람 셋 중 하나라도 교집합을 없애야 한다.
너 = 나
이건 위험한 생각이다.
가족관계에서도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
집착을 애정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부모가 자식한테 집착하는 것
보호의 과정에서 포기한 것이 발생했기 떄문에 집착하게 되기 쉽다.
섭섭함이 집착으로 변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사람, 혼자살면 불행한가, 결혼 (김경일교수) (0) | 2023.10.18 |
---|---|
화가 날때, 화를 제어하는 방법(김경일 심리학교수) (1) | 202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