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학3

행복한 사람, 혼자살면 불행한가, 결혼 (김경일교수) 인간 심리 공부 참 재밌어요. 제가 인간 심리나 행동 이런거에 관심이 없고, 타인에게 관심이 좀 없는 편이거든요. 그러다가 공황장애도 결국 "감정"을 돌보지 않은 문제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요즘 심리 관련 서적이나, 영상, 자료 등을 많이 찾아보고 있어요. 오늘 포스팅은 아주대 김경일 심리학교수 강의 내용 정리입니다. 김경일교수님 강의 좋아요. 나중에 저도 이런 사람이 되고싶네요. 행복한 사람 행복과 만족은 목표가 아니고 도구다. 왜 사세요? 행복하려고 땡! 살기 위해 행복하다. 행복이란 도구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 혼자 사는 사람은 불행하다? 가족이 행복을 보장하는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가족이 있으면 행복할 거라는 착각 가족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일의 의미를 정확히 아는 사람이 오래 버틸 수 .. 2023. 10. 18.
인간관계 스트레스 (뒷담화, 우기기, 공감제로, 집착) 직장인, 청소년 등 스트레스 1위 문제는 '인간관계' 사람 때문에 힘든게 가장 큰 상처이고 스트레스죠. 유튜브를 보다가 김경일 심리학교수 강의에서 좋은 부분을 요약해봤어요. 1) 남 욕하는 사람 지치고 힘든건 뒷담화를 들을 때.. 뒷담화를 많이 하는 사람의 특징은 1. 행복하지 않다. 2. 불안하다. 내가 싫어하는 사람을 다수가 싫어해야해, 싫어하는 감정의 타당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는데 상황 만들기에 몰입하게 된다. 다른 사람의 말을 옮기는 사람이 뒷담화 하는 사람보다 더 나쁘다. 욕을 하고 싶지만 책임 지고 싶지 않은 비겁함. 싫으면 싫다고 말하는게 낫다. 남 욕하는 사람은 왜 정신건강을 해치게 될까? 책임질말(뒷담화)은 불안(에너지소모)을 만들게 된다. 실제로 누군가의 뒷담화를 하면 불안해진다. 하는.. 2023. 10. 17.
화가 날때, 화를 제어하는 방법(김경일 심리학교수) 요즘 심리에 관심이 많아졌다. 유튜브에서 심리에 관한 내용을 보곤 하는데, 아주대 김경일 심리학교수가 강연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화가 나면 사람은 자기 자신을 제어 못한다. 인간에게는 2가지가 있는데, 총량의 법칙을 따르는 것 vs. 안 따르는 것 총량의 법칙을 따르는 것? 지갑의 현금, 인간의 의지 총량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것? 감정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정은 총량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상대방 기분이 나쁠 때 물어봐야 한다. "오늘 뭐 안 좋은 일 있으세요?" 진실이든 거짓이든 기분 나쁜 이유를 떠올린다. 그러면 쓸데없는 트집을 잡는 행동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생각하면, 기분이 좋아보였을때 "왜 기분 좋나요?" 라고 물어보면 안되는 것. 기분이 좋게 내버려 두는 것이 좋다. .. 2023. 10. 14.
반응형